본문

소장품 정보

곤여전도
곤여전도
곤여전도
영문명
Kunyu Quantu (Complete Map of the World)
중문명
坤輿全圖
연도
1856년
소장처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상세 정보
예수회 사제 페르비스트(Ferdinand Verbiest, 중국명 남회인) 신부가 1674년에 제작한 목판본 세계지도이다. 페르비스트 신부는 『곤여도설』(1672)을 간행한 뒤 그 내용을 8폭 병풍에 담아 「곤여전도」를 제작했다. 곤여전도는 북경판(1674), 광동판(1856), 해동중간본(1860) 등 세 가지 판본이 전해지는데, 본 박물관이 소장한 것은 광동판(1856) 중간본이다. 곤여(坤與)는 큰 땅[大地]을 가리키는데, 점차 의미가 확대되어 ‘지구’를 뜻하게 되었다 고 한다. 이 지도는 동반구와 서반구를 분리하여 원 위에 그려 넣고, 여백에는 구체적인 지리 지식과 관련된 내용을 써넣었으며 남극대륙에는 사람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동물의 모습을 그려 넣었다. 당시 중국에 선보인 서양의 문물과 세계지도와 함께 당대 지식인층의 큰 관심을 끌었다.
Details
A woodblock print world map published by Jesuit priest Ferdinand Verbiest in 1674. After publishing Kunyu tushuo (Illustrated Discussion of the Geography of the World) in 1672, he recreated the content of the book on an eight-panel folding screen to produce Kunyu Quantu. Three versions of the map are passed down, which are the Beijing edition (1674), the Guangdong edition (1856), and the Haidong reprinted edition (1860), and the one housed in this museum is the Guangdong edition (1856). “Kunyu” refers to the great land, whose meaning is expanded to signify the earth. The map separated the Eastern hemisphere and Western hemisphere to form a circular shape. Included in the notes written in the margins are the concrete geographical information. Portrayed on the South Pole are various animals that stimulate people’s curiosity. Along with the cultural artifacts and world map introduced to China, this fascinated the intellectuals at the time.
공지사항
12.04(월) 오늘은 휴관일 입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