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소장품 정보

기해척사윤음
기해척사윤음
기해척사윤음
영문명
Royal Edict of Rejecting the Heterodoxy in the Year of Gihae
중문명
己亥斥邪綸音
연도
1839년
소장처
한국천주교순교자박물관
상세 정보
1839년 기해년에 헌종이 천주교의 폐해를 막기 위해 내린 교서이다. 1801년 신유박해가 있은 지 40년 가까이 흘렀으나 천주교는 여전히 금지된 종교였다. 어린 헌종을 앞세운 풍양 조씨 세도 정권이 1839년 ‘사학토치령(邪學討治令)’을 내린 것이다. 이로 인해 조선교회 재건의 중심인물이던 정하상, 유진길, 조신철이 체포되어 처형되었다.
300명이 넘는 순교자를 배출한 기해박해는 11월 23일 「척사윤음」으로 막을 내린다.
Details
The royal edict issued to the people by King Heonjong to stop the harmful effects of Catholicism in the year of Gihae (1839). Even after nearly forty years passed since the Sinyu Persecution in 1801, Catholicism was still a banned religion. The Pungyang Jo Clan, putting up young King Heonjong as their front, issued another order to suppress and punish the heterodoxy in 1839. The central figures for reconstructing the Korean Catholic church, such as Jeong Hasang, Yu Giljin, and Jo Sincheol, were arrested and executed for this. The Gihae Persecution, which created more than 300 martyrs, came to an end with the royal edict of rejecting heterodoxy issued on the twenty-third day of the eleventh month.
공지사항
12.04(월) 오늘은 휴관일 입니다.
공지사항 바로가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