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정보
임진왜란 당시 정국을 총괄했던 문신 류성룡은 전란의 경험을 기록해 『징비록』이라 이름 붙였다. 징비란, 앞선 잘못을 반성하고 훗날의 교훈으로 삼는다는 뜻이다. 이 책에는 전쟁의 원인, 조선의 정치‧군사적 대응과 문제점, 백성들의 피해 사실 등이 상세하고도 객관적으로 기록돼 있다. 『징비록』은 방대한 보충 자료를 추가한 16권 형식과 류성룡의 개인적 기록인 「녹후잡기錄後雜記」만을 포함한 2권 형식으로 구분되어 전한는데, 이 유물은 17세기에 간행된 2권 형식의 『징비록』이다. 『징비록』 훗날 일본으로 건너가 『조선징비록』이란 이름으로 번역되기도 했다.
Details
Ryu Seong-ryong, a literary official responsible for political affairs during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documented his experiences of the war in a work titled Jingbirok (A Record of Penitence and Warning). Jingbi signifies reflecting on past mistakes and using them as lessons for the future. The book provides a detailed and objective account of the causes of the war, Joseon’s political and military responses and problems, and the losses suffered by the people. It exists in two versions: a 16-volume version with extensive supplementary materials and a 2-volume version containing only Ryu Seong-ryong’s personal account, Nokhu japgi (Miscellaneous Writings Written after the Jingbirok), published in the 17th century. Jingbirok later crossed over to Japan and was translated as Chosen Chohiroku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