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정보
이수광이 활동한 17세기 초는 이미 16세기 후반 이황과 이이를 중심으로 성리학의 이론이 성숙한 다음이었고, 김장생, 정구 등에 의해 예학이 융성하게 일어난 시기였다. 한편 임진왜란의 충격 속에 사회질서가 변화하고, 사상적으로도 정통적 도학의 성리학적 관점에서 벗어나 새로운 요구가 대두되기도 했다. 이때 이수광은 주자학을 존중하면서도 태극, 이기, 사단, 칠정 등의 추상적 철학 개념보다는 구체적 지식 탐구와 현실에 주목하는 새 학풍의 토대를 닦았다.
Details
In the early 17th century, during Yi Su-gwang’s active period, neo-Confucianism had already matured, with its center around Yi Hwang and Yi I in the late 16th-century Joseon. The study of ritual propriety by figures like Kim Jang-saeng and Jeong Gu flourished during this time. However, the Imjin Waeran caused a shock that led to changes in the social order, giving rise to new demands that deviated from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on the study of the Way. At this time, Yi Su-gwang laid the foundation for a new style of scholarship. This approach respected Zhu Xi’s line of neo-Confucianism but also emphasized the exploration of concrete knowledge and reality over abstract philosophical concepts like the Great Ultimate (taiji), Principle (li), Material Force (qi), the Four Beginnings, the Seven Emotions, and the like.